본문 바로가기

분류 전체보기48

[금연약] 바레니클린에 대한 모든 것 (챔픽스, 니코버, 연휴 등) 금연치료 의약품 바레니클린의 A to Z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바레니클린(varenicline)이라는 성분의 금연치료 의약품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챔픽스라는 상품명으로 많이 알려진 바레니클린의 금연치료 보조 작용기전, 복용 방법, 주요 임상시험 결과, 기타 금연요법과의 사용, 상호작용 및 주의사항에 대해 공유드리겠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효능 효과 금연치료의 보조요법 [1] 작용 기전 니코틴이 니코틴성 아세틸콜린 수용체(neuronal nicotinic acetylcholine receptor, nAChR)에 결합하면 아세틸콜린의 효과 일부를 모방하여 신경 세포를 자극하고, 신경전달 물질 중 특히 도파민의 분비를 증가시키며 다양한.. 2023. 7. 23.
[과민성 방광 치료제 3편]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feat. 프로피베린, 톨터로딘, 베타네콜의 효능 및 작용기전 차이)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무스카린 길항제 vs 무스카린 효능제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과민성 방광 치료제] 시리즈가 반응이 좋아서 보람찬 마음으로 3편을 들고 왔습니다. 1편, 2편에서 미라베그론(mirabegron), 솔리페나신(solifenacin), 탐스로신(tamsulosin)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번 3편에서는 프로피베린(propiverine), 톨터로딘(tolterodine), 베타네콜(bethanechol)에 대한 설명과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부분에 [과민성 방광 치료제 1~3편] 간단 요약정리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 2023. 7. 21.
이거였어? 논문 덕후 약사가 매일 사용하는 촉촉하고 트러블 없는 피부를 위한 약국 꿀템 (feat. 비판텐, D-판테놀) 가성비와 효과,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는 숨겨진 약국 피부 꿀템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제가 아주 애용하고 있는 피부 제품에 관한 글을 쓰려고 하는데요, 실제로 사용하기 전에 논문도 꼼꼼히 찾아 읽어보고 (내 피부는 소중하니까) 약 한 달째 사용하고 있는 '의약품'입니다. 혼자만 쓰기 아까워서 포스팅 올려요! 저의 경험을 제외한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비판텐, D-판테놀 등의 덱스판테놀 연고오늘 말씀드리고자 하는 제품은 바로 많은 분들이 이미 알고 계시는 비판텐과 D-판테놀 등의 덱스판테놀 연고입니다. 애기들 기저귀 발진에 사용하는 연고로 유명한 의약품인데요, 이 약의 주성분인 덱스판테놀은 피부염 뿐만 아니라 피부 수분 공급 및 피부 장벽 재생에도 이미 많은 .. 2023. 7. 20.
두통약, 감기약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이유 (feat. 게보린, 콜대원 시럽, 그날엔, 판콜, 판피린 등) 두통약, 감기약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게보린, 그날엔, 사리돈, 판콜, 판피린, 콜대원 시럽 등에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카페인은 그냥 잠 안 오려고 먹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두통약/감기약에 왜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두통약 & 감기약 게보린정: 아세트아미노펜 300 mg, 카페인무수물 50 mg,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 mg [1] 그날엔큐정: 이부프로펜 75 mg,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30 mg, 카페인무수물 40 mg, 산화마그네슘 50 mg [2] 사리.. 2023. 7. 18.
[과민성 방광 치료제 2편] 여성 환자에게 전립성비대증 약이 처방되는 경우도 있나요? (feat. 하루날디, 한미탐스, 작용기전, 복용법) 여성 배뇨장애 환자에게 탐스로신이 처방될 때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약국에 있다 보면 가끔씩 배뇨장애를 겪는 여성 환자에게 tamsulosin(탐스로신)이 처방되는 경우가 있습니다. 약 봉투에는 '전립성비대증 약'이라고 나오기 때문에 환자분들이 당황하시기도 하는데요, 오늘 포스팅에서는 여성의 하부요로증상/과민성방광증상에 tamsulosin이 사용되는 이유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Tamsulosin(탐스로신)은 어떤 약인가요? Tamsulosin은 양성 전립성비대증에 따른 배뇨장애에 쓰이는 약으로,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하루날디, 한미탐스 등이 있습니다. [1,2] Tamsulosin(탐스로신) 작용 기전 방광에 있는 adrene.. 2023. 7. 17.
장폐색 환자에게 지사제를 쓰는 경우도 있나요? (feat. 로페라미드 loperamide) 장폐색 환자가 설사를 하는 경우에 대하여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이번 포스팅은 많은 분들이 관심을 가질만한 주제는 아니지만, 한 번 들으면 궁금할 수밖에 없는 내용을 준비하였습니다. 바로 '장폐색 환자에게 지사제를 사용'하는 경우인데요, 장폐색 환자라면 변비 증상을 호소할 것으로 예상되지만 설사 증상을 보이시는 분도 있습니다. 이러한 설사 증상은 주로 어떤 장폐색 환자에서 발생하고, 지사제로 치료된 경우가 있는지도 함께 알아보겠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장폐색의 정의 장 폐색은 장, 특히 소장이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막혀 음식물, 소화액, 가스 등의 장 내용물이 통과하지 못하는 질환을 말합니다. 기계적인 원인으로 장이 막히는 기계적 장폐색과 장의 운동이 중지되.. 2023. 7. 13.
[로얄플러스크림] 몇 살부터 사용 가능하나요? 논문에서 찾아봤습니다 (feat. 성분, 효능, 주의사항, 복약지도 꿀팁 등) 로얄플러스크림에 대한 궁금증, 한 번에 정리하기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많은 분들이 로얄플러스크림의 사용 연령에 대해 궁금해하셔서 관련 내용을 준비해 보았는데요, 아마 식약처 제품정보에 나이에 대한 내용이 없어서 더욱 궁금증이 커지지 않았나 싶습니다. 바쁘신 분들을 위해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2세 이상에서 사용하는 것이 맞다고 생각됩니다. 그 이유를 논문을 비롯한 evidence가 높은 출처에서 로얄플러스크림의 각 성분별 사용 연령에 대해 찾은 자료를 통해 설명드리고, 추가적으로 효능·작용기전·주의사항에 대해서도 함께 정리해 보았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해 주세요. 성분 로얄플러스크림 1 g에는 로얄젤리(royal jelly) 20 mg과 히드로코르티손(hy.. 2023. 7. 13.
[과민성 방광 치료제 1편] 약을 아침/저녁 중 언제 먹어야 하나요? 베타미가 vs 베시케어 비교 총정리 (작용기전, 복용법, 복약지도 꿀팁 등) '베타미가 vs 베시케어' 이것으로 정리 끝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흔히 처방되지만 다소 헷갈리는 '과민성 방광 치료제'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민성 방광에 가장 많이 처방되는 mirabegron(베타미가, 베타그론 등)과 solifenacin(베시케어, 유로테라 등)에 대해 공유드리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tolterodine(유로딘 등), bethanechol(하이네콜 등), tamsulosin(하루날디, 한미탐스 등) 등 기타 약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정리할 예정입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의 정의 및 증상 각 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들어가기 앞서, 과민성 방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 2023. 7. 12.
PDRN 점안액 오래 사용해도 될까? PDRN 점안액의 작용기전, 적응증, 렌즈착용 가능여부, 주의사항 (feat. 리안, 리클란, 마이드롭, 모이스타) PDRN 점안액의 올바른 사용 가이드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1회용 점안액 중에서도 PDRN (polydeoxyribeonucleotid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성분의 점안액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대표적인 PDRN 점안액으로는 리안, 리클란, 마이드롭, 모이스타 점안액 등이 있는데요, 평소에 이 제품들을 사용하시거나 성분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PDRN 이란? 줄여서 PDRN이라고 부르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는 연어 DNA를 정제하고 살균처리해서 얻은 DNA 유래 약물로, 크게 다음 세 가지의 임상적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1. 조직 재생, 상처 회복 및 치료적 혈관신생 (Tissue Repairing, Wound .. 2023. 7. 11.
[2023 미국 FDA 승인 신약]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 FDA 완전 승인, 획기적인 변화 불러올까? Eisai와 Biogen, FDA 완전 승인으로 레켐비 출시 본격화 Eisai와 Biogen에서 공동 개발한 알츠하이머 치료제 레켐비(Leqembi)가 FDA 신속 승인된 지 반년만에 공식적인 승인을 받았습니다. (레켐비의 주요 임상 결과 및 작용 기전에 대해 궁금하시다면 이전 포스팅을 참고해주세요) 이로써 레켐비는 질병 진행 속도를 줄이고 질병의 초기 및 경미한 치매 단계에서 인지 장애를 늦추는 것으로 나타난 최초이자 유일하게 승인된 항아밀로이드 알츠하이머병 치료제가 되었습니다. 이에 대해 Eisai의 부사장인 알렉스 스콧은 인터뷰에서 "레켐비의 혜택을 받을 수 있는 환자군은 미국 medicare 인구라고 일반화할 수 있을 만큼 광범위하다"라고 밝혔습니다. 레켐비는 알츠하이머병의 질병 표지자인 아밀로이.. 2023. 7. 10.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