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민성 방광 치료제 3편]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feat. 프로피베린, 톨터로딘, 베타네콜의 효능 및 작용기전 차이)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무스카린 길항제 vs 무스카린 효능제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과민성 방광 치료제] 시리즈가 반응이 좋아서 보람찬 마음으로 3편을 들고 왔습니다. 1편, 2편에서 미라베그론(mirabegron), 솔리페나신(solifenacin), 탐스로신(tamsulosin)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번 3편에서는 프로피베린(propiverine), 톨터로딘(tolterodine), 베타네콜(bethanechol)에 대한 설명과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부분에 [과민성 방광 치료제 1~3편] 간단 요약정리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
2023. 7. 21.
두통약, 감기약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이유 (feat. 게보린, 콜대원 시럽, 그날엔, 판콜, 판피린 등)
두통약, 감기약에 카페인이 들어있는 이유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흔히 알고 있는 게보린, 그날엔, 사리돈, 판콜, 판피린, 콜대원 시럽 등에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것을 알고 계셨나요? "카페인은 그냥 잠 안 오려고 먹는 거 아니야?"라고 생각하실 수 있는데요, 오늘은 약국에서 구매할 수 있는 두통약/감기약에 왜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지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참고 부탁드립니다. 카페인이 들어가 있는 두통약 & 감기약 게보린정: 아세트아미노펜 300 mg, 카페인무수물 50 mg, 이소프로필안티피린 150 mg [1] 그날엔큐정: 이부프로펜 75 mg, 알릴이소프로필아세틸우레아 30 mg, 카페인무수물 40 mg, 산화마그네슘 50 mg [2] 사리..
2023. 7. 18.
[과민성 방광 치료제 1편] 약을 아침/저녁 중 언제 먹어야 하나요? 베타미가 vs 베시케어 비교 총정리 (작용기전, 복용법, 복약지도 꿀팁 등)
'베타미가 vs 베시케어' 이것으로 정리 끝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흔히 처방되지만 다소 헷갈리는 '과민성 방광 치료제'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했습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과민성 방광에 가장 많이 처방되는 mirabegron(베타미가, 베타그론 등)과 solifenacin(베시케어, 유로테라 등)에 대해 공유드리고, 다음 포스팅에서는 tolterodine(유로딘 등), bethanechol(하이네콜 등), tamsulosin(하루날디, 한미탐스 등) 등 기타 약물에 대해서도 자세히 정리할 예정입니다.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의 정의 및 증상 각 약제에 대한 설명으로 들어가기 앞서, 과민성 방광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
2023. 7. 12.
PDRN 점안액 오래 사용해도 될까? PDRN 점안액의 작용기전, 적응증, 렌즈착용 가능여부, 주의사항 (feat. 리안, 리클란, 마이드롭, 모이스타)
PDRN 점안액의 올바른 사용 가이드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은 1회용 점안액 중에서도 PDRN (polydeoxyribeonucleotide,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 성분의 점안액에 대한 포스팅을 준비해 보았습니다. 대표적인 PDRN 점안액으로는 리안, 리클란, 마이드롭, 모이스타 점안액 등이 있는데요, 평소에 이 제품들을 사용하시거나 성분에 대해 궁금하셨던 분들은 끝까지 읽어주시길 바랍니다. PDRN 이란? 줄여서 PDRN이라고 부르는 폴리데옥시리보뉴클레오티드는 연어 DNA를 정제하고 살균처리해서 얻은 DNA 유래 약물로, 크게 다음 세 가지의 임상적 효능을 가지고 있습니다. [1] 1. 조직 재생, 상처 회복 및 치료적 혈관신생 (Tissue Repairing, Wound ..
2023. 7.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