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학 정보/전문의약품

[과민성 방광 치료제 3편]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feat. 프로피베린, 톨터로딘, 베타네콜의 효능 및 작용기전 차이)

by 약디 2023. 7. 21.
반응형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무스카린 길항제 vs 무스카린 효능제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과민성 방광 치료제] 시리즈가 반응이 좋아서 보람찬 마음으로 3편을 들고 왔습니다. 1편, 2편에서 미라베그론(mirabegron), 솔리페나신(solifenacin), 탐스로신(tamsulosin)에 대해 말씀드렸는데요, 이번 3편에서는 프로피베린(propiverine), 톨터로딘(tolterodine), 베타네콜(bethanechol)에 대한 설명과 이들의 차이점에 대해 설명드리도록 하겠습니다. 마지막 부분에 [과민성 방광 치료제 1~3편] 간단 요약정리도 있으니 끝까지 읽어주세요 :) 모든 레퍼런스는 하단에 기재되어 있습니다.

 

 

 

과민성 방광 vs 저활동성 방광

방광은 소변을 저장하고 배출하는 역할을 합니다. 정상적인 방광은 소변이 300~400cc 정도 찰 때까지 압력이 증가하지 않은 채 풍선처럼 늘어납니다. 그러다가 요의(소변을 보고 싶다는 느낌)가 들면, 외요도 괄약근이 열리고 배뇨근이 수축하여 소변을 배출한 뒤 다시 제 모양으로 돌아옵니다. 

과민성 방광(Overactive bladder, OAB)은 요로 감염과 같은 명확한 원인이 없는 상태에서 주간빈뇨, 야간뇨를 흔하게 동반하는 요절박(강하고 갑작스러운 요의)을 핵심 증상으로 합니다.

저활동성 방광(Underactive bladder, UAB)은 배뇨근의 수축력과 수축 기간이 감소하여 방광을 비우는 데 시간이 오래 걸리거나 완전히 방광을 비우지 못하는 현상을 포괄합니다. 이는 낮은 요속(약뇨), 요 주저, 소변을 보기 위해 힘을 주거나 잔뇨가 많이 남는 증상 등을 동반합니다. [1]


무스카린 길항제 vs 무스카린 효능제

프로피베린(Propiverine), 톨터로딘(Tolterodine)베타네콜(Bethanechol)은 방광 기능 이상을 치료하는 데 사용되는 약물이지만, 각각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작용합니다. 각각의 약물을 개별적으로 설명하고, 그들의 임상적 용도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1. 프로피베린(propiverine)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비유피-4정, 유로나정 등이 있습니다. [2,3]

 

효능 효과

  • 하기질환 또는 아래 상태에 의한 빈뇨, 요실금 :
    신경인성방광, 신경성빈뇨, 불안정방광, 방광자극상태(만성방광염, 만성전립샘염)
  • 과활동 방광의 소변 절박감, 빈뇨 및 절박성 요실금

작용 기전

프로피베린은 muscarinic antagonist(무스카린 길항제)이자 calcium-modulating agent입니다.

 

무스카린 수용체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것을 방해함으로써 방광 평활근의 수축을 막아 방광이 더 많은 양의 소변을 저장할 수 있게 해 주며, 또한 칼슘 유입을 막고 방광 평활근을 이루는 세포 내 칼슘 농도를 조절하여 근육 경련을 억제합니다. 이러한 작용기전으로 인해 프로피베린은 절박뇨, 빈뇨, 요실금 등의 과민성 방광 증상에 사용됩니다. [4, 5]

 

용법 용량

  • 성인: 1일 1회 20 mg식후 경구투여
  • 증상에 따라 적정 증감하지만, 효과가 불충분하고 안전성에 문제가 없다면 20 mg을 1일 2회까지 복용 가능

2. 톨터로딘(tolterodine)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디트루시톨정, 유로딘서방정 등이 있습니다. [6, 7]

 

효능 효과

절박뇨, 빈뇨 또는 절박성 요실금과 같은 증상의 과활동성 방광의 치료

 

작용 기전

톨터로딘 역시 mucarinic antagonist(무스카린 길항제)로, 방광 내의 무스카린 수용체(특히 M2, M3)에 아세틸콜린이 결합하는 것을 차단합니다. 이로 인해 방광의 저장 단계에서 배뇨근의 무의식적 수축이 감소하여 빈뇨, 절박뇨 등의 과민성 방광 증상이 완화됩니다. [4]

 

용법 용량

<일반 정제 또는 캡슐제>

  • 성인 : 1회 2 mg을 1일 2회 경구투여
    (단, 환자의 내약성에 따라 1회 용량을 2 mg에서 1 mg으로 감량하여 1일 2회 투여 가능)
  • 신기능, 간기능장애 환자 또는 케토코나졸 등 강력한 CYP3A4 억제제 투약 환자: 1일 2회 1회 1 mg 투여

<서방형 제제>

  • 성인 : 1일 1회 4 mg을 경구투여
  • 신기능, 간기능장애 환자 또는 케토코나졸 등의 강력한 CYP3A4 억제제 투약 환자 : 1일 1회 2 mg을 투여
  • 식사와 무관하게 복용할 수 있으며 부수거나 쪼개지 말고 반드시 온전한 제형으로 삼켜야 함

3. 베타네콜(bethanechol)

대표적인 상품명으로는 하이네콜, 유니네콜 등이 있습니다. [8, 9]


효능 효과

수술후ㆍ분만후 기능성 요정체, 방광의 신경성 근이완증

 

작용 기전

베타네콜(bethanechol)은 위에 두 약물과는 달리 muscarinic agonist(무스카린 효능제)로 작용합니다.

 

방광 내의 무스카린 수용체를 자극함으로써 배뇨근의 수축을 일으켜 방광을 비우게 됩니다. 이로 인해 베타네콜은 주로 방광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는 요로배뇨장애에 사용됩니다. 방광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거나 비우기까지 시간이 오래 걸리는 것과 같은 저활동성 방광 증상을 개선하기 사용되며, 수술 후나 산후기 요로배뇨장애와 같이 방광 수축성을 증가시켜야 하는 경우에도 사용됩니다. [10]

 

용법 용량

성인 : 1회 10 ~ 25 mg을 1일 3 ~ 4회 투여한다.
식사 직후 이 약을 복용할 경우 메스꺼움, 구토 등의 증상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공복 복용을 권장


[과민성 방광 치료제 1~3편] ★간단 요약정리★

성분명(상품명): 작용기전 / 임상 용도

 

Mirabegron(베타미가): b3-agonist; 방광 평활근 이완 / 빈뇨, 절박뇨 등의 과민 방광

Solifenacin(베시케어): M antagonist; 방광 평활근 수축 방지 / 빈뇨, 절박뇨 등의 과민 방광

Propiverine(비유피-4): M antagonist; 방광 평활근 수축 방지 / 빈뇨, 절박뇨 등의 과민 방광

Tolterodine(유로딘): M antagonist; 방광 평활근 수축 방지 / 빈뇨, 절박뇨 등의 과민 방광

 

Tamsulosin(하루날디): a1A & a1D antagonist; 전립선&방광 평활근 이완 / 요의는 있으나 소변이 잘 안 나오거나 잔뇨감이 들 때 등의 방광출구폐색 & 절박, 빈뇨감 등의 과민방광

 

Bethanechol(하이네콜): M agonist; 배뇨근 수축 / 방광이 충분히 비워지지 않고 잔뇨감이 드는 저활동성 방광

Figure 출처: Reference 4


이번 글은 약토피아 인스타그램에서 카드뉴스 형태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인스타그램 바로가기(←click)

or
↓ ↓ QR코드 스캔하여 카드뉴스 보기

 


References
1. 서울아산병원 > 의료정보 > 질환백과 > 방광의 신경근육 기능 장애

2.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비유피-4정 제품정보
3.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유로나정 제품정보

4. Abrams P, et al. Muscarinic receptor antagonists for overactive bladder. BJU International. 2007;100(5):987-1006.
5. Madersbacher H, et al. Propiverine vs oxybutynin for treating neurogenic detrusor overactivity in children and adolescents: results of a multicentre observational cohort study. BJU International. 2009;103(6):776-781.

6.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디트루시톨정2mg 제품정보
7.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유로딘서방정 제품정보

8.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하이네콜정 제품정보
9.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유니네콜정 제품정보

10. Bayrak Ö, et al. Underactive bladder: A review of the current treatment concepts. Turk J Urol. 2019;45(6):401-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