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약학 정보/일반의약품

트레스탄 캡슐은 정말 식욕부진에 도움이 되는 걸까? 논문 덕후 약사가 10개 이상의 논문을 토대로 정리한 트레스탄 캡슐의 작용기전

by 약디 2023. 7. 10.
반응형

트레스탄 캡슐의 성분 및 원리 파헤치기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트레스탄 캡슐은 식욕이 없어 병원이나 약국을 찾으시는 분들께 주로 처방 또는 판매되는 대표적인 약인데요, 많은 분들이 도대체 어떤 약이길래 식욕을 돋울 수 있는지 궁금하시리라 생각됩니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트레스탄 캡슐을 구성하는 4가지 성분이 각각 어떤 원리로 식욕 부진에 도움이 되는지에 대해 살펴보겠습니다. 모든 내용은 논문 및 식약처 허가사항을 바탕으로 말씀드리며, 레퍼런스가 하단에 기재되어 있으니 더 많은 정보가 궁금하신 분들은 참고 부탁드립니다.

 

 

트레스탄의 주 성분

식품의약품안전처 허가사항에 따르면 트레스탄 캡슐은 1974년에 허가를 받은 약으로 '식욕부진'에 효능효과를 인정 받았습니다. 트레스탄 캡슐은 아래의 4가지 주요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염 및 이성질체 표기는 생략하였습니다.) [1]

 

  1. 시프로헵타딘(cyproheptadine)
  2. 시아노코발라민(cyanocobalamine)
  3. 카르니틴(carnitine)
  4. 리신(lysine)

 

그럼 각각의 성분이 어떻게 식욕 부진에 도움이 되는지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1. 시프로헵타딘 (Cyproheptadine)

Cyproheptadine은 1959년 어린이들의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해 연구된 항히스타민제(H1 antagonist)이자 세로토닌 수용체 길항제(5-HT2 antagonist)인 약물입니다. 알레르기성 비염 치료를 위해 연구된 약이지만,그 당시 연구자들은 부작용으로 식욕과 체중이 상당히 증가한다는 사실에 주목하였고, 후속 연구들이 진행되었습니다. [2]

 

Cyproheptadine의 세로토닌 수용체 차단작용은 이것의 식욕 조절 효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고 밝혀져 있습니다. 시상하부에서 세로토닌은 강력한 식욕 자극성 펩타이드인 neuropeptide Y라는 신경전달물질의 분비를 억제합니다. Cypropeptide는 세로토닌 수용체를 차단함으로써 식욕을 자극하는 neuropeptide Y의 억제를 억제시킵니다. 즉, neuropeptide Y라는 식욕 자극 인자의 분비를 증가시켜 식욕 부진에 도움이 된다는 것이 주요 메커니즘으로 생각됩니다. [2-4]

 

식욕 촉진제로써 cyproheptadine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진행된 2019년에 발표된 체계적 문헌고찰의 결과를 가져와보았습니다. 리뷰 기준을 충족한 총 46개(RCT 32개, 전향적 코호트 연구 4개, 후향적 코호트 연구 4개, case report 4개, case series 2개)의 연구 중 39개에서 cyproheptadine은 연구 집단에서의 유의한 체중 증가를 초래하였습니다. 다만 HIV 및 암과 같은 악성/진행성 질병 상태를 가진 사람들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는 cyproheptadine이 유의한 효과를 보이지 않았습니다. (각 연구 집단별 자세한 결과는 Reference 2 논문을 찾아서 보시길 바랍니다.) [2]

 

 

2. 시아노코발라민 (Cyanocobalamin)

Cyanocobalamin은 비타민 B12로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으로, 적혈구 형성 및 신경계의 올바른 기능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Cyanocobalamin 자체는 식욕에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지만, 비타민 B12 결핍은 식욕과 식사 패턴에 변화를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비타민 B12 결핍이 있는 경우 식욕부진, 피로, 약해진 체력 등의 증상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식욕부진은 B12 결핍이 소화 시스템에 미치는 영향으로 설명할 수 있는데요, 비타민 B12는 위산과 소화 효소의 적절한 생성에 필요하며, 결핍 시 소화 과정이 장애를 받을 수 있어 식욕이 감소할 수 있습니다. 또한, 치료되지 않은 비타민 B12 결핍은 빈혈을 일으킬 수 있습니다. 빈혈은 적혈구 수가 감소하는 상태로, 피로, 약함 및 에너지 부족감과 같은 증상을 유발할 수 있어 식욕부진을 더욱 악화시킬 수 있습니다. 다만 시아노코발라민 보충은 비타민 B12 결핍 증상을 완화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지만, 정상적인 B12 수준을 갖춘 사람들의 식욕에는 직접적인 영향을 주지 않습니다. [5, 6]

 

3. 카르니틴 (Carnitine)

카르니틴은 아미노산 리신(lysine) 유도체로, 지방산을 세포의 미토콘드리아 내로 운반하여 에너지를 생성하는 것에 관여합니다. L-카르니틴은 지방 대사를 통해 저장된 지방의 사용을 촉진하여 우리 몸이 추가 에너지를 필요로 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며 운동 시 체중 감소에도 도움을 줄 수 있습니다. [7, 8]

암 악액질(cancer cachexia) 상태의 쥐를 대상으로 한 전임상 연구에 따르면, L-carnitine은 염증매개인자인 TNF-α 및 IL-6의 혈중 농도 조절, 간에서의 CPT(carnitine palmitoyltransferase) 발현 조절을 통해 식욕부진과 체중 감소에 관여하였습니다.

실제로 72명의 진행성 췌장암 환자들을 대상으로 한 RCT 연구에서, carnitine 복용군은 위약군 대비 체중 증가 및 삶의 질 향상을 보인 연구 결과도 있습니다. [7, 9-10] 이러한 연구 결과에도 불구하고 carnitine이 식욕 조절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아직 제한적입니다. 또한 앞서 언급한 연구들 역시 동물을 대상으로 한 전임상 연구 또는 진행성 암 환자라는 지엽적인 환자군을 대상으로 한 연구임을 인지하고 있어야 합니다.

 

4. 리신 (Lysine)

L-lysine은 인체 내에서 다양한 생리적 과정에서 중요한 역할을 하는 필수 아미노산으로, lysine이 결핍될 경우 식욕부진 및 피로감을 느낄 수 있습니다(단, 필수 아미노산 공급이 충분할 경우 lysine의 초과 공급이 식욕 촉진을 일으키진 않았습니다).[11] 또한 lysine은 카르니틴(carnitine) 합성에 필수적인 아미노산입니다.  앞서 3번에서 carnitine이 식욕 조절에 어떻게 관여할 수 있는지를 말씀드렸는데요, lysine은 carnitine의 전구체로서 우리 몸에서 에너지 대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carnitine 생성에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11] 그 외에도 lysine이 serotonin 및 그렐린(ghrelin, 식욕을 자극하는 'hunger hormone'으로도 잘 알려져 있음)의 조절에 관여한다는 연구들도 있지만, 대부분 쥐 또는 조류를 대상으로 한 연구이므로 여기서는 제외하도록 하겠습니다. 

 

트레스탄 캡슐 복용법

- 성인: 처음 8일간은 아침ㆍ저녁 식전에 1 캡슐씩 복용, 이후부터는 아침ㆍ저녁 식전에 2 캡슐씩 복용

 

- 항콜린 작용이 있으므로 녹내장 환자, 소변 저류 환자, 고령자 및 쇠약자, 신생아는 복용하지 말아야 합니다.

 

(약디 생각: 식욕부진은 주로 고령 환자분들이 호소하시는데 고령자(기준이 애매함)는 복용하지 말아야 한다고 나와있는 점이 크게 고민되시리라 생각됩니다. 환자분의 나이 및 건강상태를 보시고 식욕부진과 항콜린 부작용의 risk and benefit을 신중히 판단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습니다.)

 


이번 글은 약토피아 인스타그램에서 카드뉴스 형태로도 만나보실 수 있습니다 :)

 

↓ ↓ QR코드를 스캔하여 인스타그램 카드뉴스를 확인하세요

 

References

1. 식품의약품안전처 > 의약품안전나라 > 트레스탄캡슐 제품정보

2. Harrison ME, et al. Use of cyproheptadine to stimulate appetite and body weight gain: A systematic review. Appetite. 2019;137:62-72.
3. Silverstone T, et al. Serotoninergic mechanisms in human feeding: The pharmacological evidence. Appetite. 1986;7(Supplement):85-97.
4. Erlanson-Albertsson C, et al. Basic & Clinical Pharmacology & Toxicology. How Palatable Food Disrupts Appetite Regulation. 2005;97:61–73.

5. Baik HW, et al. VITAMIN B12 DEFICIENCY IN THE ELDERLY. Annu. Rev. Nutr. 1999. 19:357–77.

6. Goraya JS, et al. Neurology of Nutritional Vitamin B12 Deficiency in Infants: Case Series From India and Literature Review. Journal of Child Neurology. 2015;30(13):1831-1837.

7. Childs DS, et al. A hunger for hunger: A review of palliative therapies for cancer-associated anorexia. Ann Palliat Med. 2019; 8(1):50–58.
8. Longo N, et al. Biochimica et Biophysica Acta. Carnitine transport and fatty acid oxidation. 2016;1863(10):2422–2435.
9. Liu S, et al. L-carnitine ameliorates cancer cachexia in mice by regulating the expression and activity of carnitine palmityl transferase. Cancer Biology & Therapy. 2011;12(2):125-130.
10. Kraft M, et al. L-Carnitine-supplementation in advanced pancreatic cancer (CARPAN)-a randomized multicentre trial. Nutrition Journal. 2012;11:52.

11. Jansen GR. Lysine in Human Nutrition. The Journal of Nutrition. 1962;76(Suppl 2):1-35.

12. Hulse JD, et al. Carnitine biosynthesis. beta-Hydroxylation of trimethyllysine by an alpha-ketoglutarate-dependent mitochondrial dioxygenase. Journal of Biological Chemistry. 1978;253(5):1654-1659.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