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가이드라인 모음/2. 내분비 질환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 KDA(대한민국), ADA(미국), IDF(국제) with 바로가기 링크

by 약디 2023. 9. 22.
반응형

당뇨병 치료 가이드라인을 한 곳에

안녕하세요, 논문 덕후 약사 약디입니다. 오늘 <질병 가이드라인을 한 곳에>의 주제는 "당뇨병(Diabetes mellitus)"입니다. 국내외 저명한 당뇨병 진료지침의 바로가기 링크, 그리고 약디만의 활용 꿀팁도 함께 소개합니다. 

 

저는 당뇨관리 전문약사 과정을 수료 중인 만큼, 당뇨병에 대해 큰 관심을 가지고 있습니다. 당뇨환자의 영양요법과 운동요법, 당뇨병이 생기는 원인과 치료가 어려운 이유, 그 외에도 개별 당뇨 약제의 자세한 매커니즘에 대해서는 질환별 시리즈 > 당뇨병 카테고리에서 자세하게 다루고 있으니 이 점 참고해주세요. <질병 가이드라인을 한 곳에>에서는 국내외 가이드라인 소개에 집중을 하고 있으며, 각 가이드라인마다 제가 느낀 장단점이나 특별한 점을 위주로 기재하고 있습니다. 

 

 


1. KDA 당뇨병 진료지침 (대한당뇨병학회)

국내 가이드라인은 대한당뇨병학회의 당뇨병 진료지침을 보시면 됩니다. 2023년 9월 기준 가장 최신 버전은 2023년 7월에 개정된 제8판입니다. 

 

국내 당뇨병 진료지침 바로가기

 

<목차>

 

 

★약디 Check Point★

 

1) 제2형 당뇨병 약물치료 알고리즘 개정사항

  • 기존에는 1차 약제로 메트포르민 사용이 일반적이었으나, 죽상경화심혈관질환, 심부전, 만성신장질환을 동반한 경우는 SGLT2i 또는 GLP-1RA 중 각 질환에 대한 임상적 이득이 확인된 약물을 우선 사용하도록 권고됨.
  • 새로 발표된 SGLT2억제제와 GLP-1 수용체 작용제의 임상연구를 기반으로 심부전이나 만성신장질환이 있는 당뇨병환자에서 당화혈색소 수치와 무관하게 SGLT2 억제제의 우선 사용을 권고하고 금기나 부작용이 없는 한 유지하도록 함. 
  • 주사제 기반의 병용요법을 고려할 때 기저 인슐린보다 GLP-1수용체 작용제를 우선 권고함.

 

 

2) 비만 관리

2023년 개정안에서는 2형 당뇨병 환자에서 장기사용이 가능한 항비만약물이 정리되어 있습니다.

  • Orlistat (제니칼)
  • Naltrexone/bupropion ER (콘트라브 서방정)
  • Liraglutide (삭센다)
  • Phentermine/topiramate ER (큐시미아)
  • Semaglutide (오젬픽)

 

 

 

3) 표&그림(jpg) 별도 제공

위의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면, 진료지침에 나온 표와 그림을 모아서 jpg 파일로 제공해준 폴더를 다운로드 할 수 있습니다.

 

 

 

2. ADA 가이드라인 (미국당뇨병학회)

미국의 ADA (American Diabetes Association) 가이드라인은 전 세계적으로 가장 평판 있는 당뇨병 가이드라인입니다. 2023년 9월 기준, 가장 최신 버전은 2023년에 추가적으로 수정된 버전입니다.

 

ADA 가이드라인 바로가기

 

 

★약디 Check Point★

 

위의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면, 각 section에 대해서 별도로 pdf 파일을 제공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광범위한 가이드라인에서 헤매지 않고, 원하는 세부 주제로 바로 접근할 수 있는 것이 장점입니다.

 

 

  • Sec 1. Improving Care and Promoting Health in Populations
  • Sec 2. Classification and Diagnosis of Diabetes
  • Sec 3. Prevention or Delay of Type 2 Diabetes and Associated Comorbidities
  • Sec 4. Comprehensive Medical Evaluation and Assessment of Comorbidities
  • Sec 5. Facilitating Positive Health Behaviors and Well-being to Improve Health Outcomes
  • Sec 6. Glycemic Targets
  • Sec 7. Diabetes Technology
  • Sec 8. Obesity and Weight Management for the Prevention and Treatment of Type 2 Diabetes
  • Sec 9. Pharmacologic Approaches to Glycemic Treatment
  • Sec 10. Cardiovascular Disease and Risk Management
  • Sec 11. Chronic Kidney Disease and Risk Management
  • Sec 12. Retinopathy, Neuropathy, and Foot Care
  • Sec 13. Older Adults
  • Sec 14. Children and Adolescents
  • Sec 15. Management of Diabetes in Pregnancy
  • Sec 16. Diabetes Care in the Hospital
  • Sec 17. Diabetes Advocacy

 

 

3. IDF 가이드라인 (세계당뇨병연맹)

IDF(International Diabetes Federation) 가이드라인 역시 저명한 당뇨병 가이드라인 중 하나입니다. 2023년 기준 최신버전은 21년 발표된 제10판입니다. 바로가기 링크를 클릭하면, 아래 사진처럼 DOWNLOAD 버튼을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IDF 가이드라인 바로가기

★약디 Check Point★

 

IDF 가이드라인은 보다 다채롭고 인포그래픽한 디자인을 선사합니다. 프레젠테이션에 활용하면 좋을 것 같다는 생각이 드네요 :)

 

<페이지 예시>


이상으로 당뇨병에 대한 질병 가이드라인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궁금하신 점이 있으시다면 언제든지 댓글로 담겨주세요. 당뇨병에 대한 자세한 지식들은 질환별 시리즈 > 당뇨병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

반응형